반응형

Nike는 어떻게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었나

1964년에 설립된 후 미국을 대표하는 스포츠 브랜드로 이름을 알린 나이키 (Nike).  설립된지 50년이 넘은 기업이지만 여전히 자신들을 성장기업이라고 부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로 이루어진 Dow 30 Club의 유일한 패션 관련 주식으로 나이키의 주가는 지난 2018년 9월 21일 85.55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주가 상승의 비결은 무엇보다 매출의 급속한 성장 덕분입니다.  북미 지역에서만 3% 의 성장과 더불어 중국지역에서 환율 효과를 감안하지 않은 25%의 순 매출 신장을 기록했습니다.  Nike의 2번째로 큰 시장으로 불리는 유럽지역 에서 역시 10%의 매출 신장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지난 4분기 Nike는 150억 달러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새롭게 탄생되는 수 많은 스포츠 브랜드와 아디다스와 룰루레몬 (Lululemon) 등 다른 경쟁자들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장하는 Nike의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요?


1.   와비파커에서 얻은 영감

Nike의 급속한 성장의 비결은 바로 와비파커와 같이 소비자 직접 판매를 늘린 것입니다.  Nike 사이트에서의 온라인 거래의 증가 뿐 아니라 전 세계 대도시에 컨셉 스토어를 개장하면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중을 늘리려는 노력이 적중했습니다.

LA 등 대도시에 컨셉 스토어를 개장하는 것과 동시에, 웹사이트에서는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거주지의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원하는 제품이 있는 매장을 알려주는 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직접 스토어로 불려들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아마존과 제휴

아마존의 성장과 미국 온라인 쇼핑몰들의 성공으로 전통적인 리테일 쇼핑센터들이 문을 닫는 것과 마찬가지로 Nike의 온라인 세일 또한 급성장했습니다.  작년 같은 시기에 비해 온라인 판매는 25% 증가했습니다.

Nike 자체 온라인 판매와 더불어 작년 10월부터 제휴를 맺은 아마존과 알리바바의 Tmall, 그리고 유럽의 자란도 (Zalando)와 제휴를 맺으며 매출이 급성장하게 되었으며, 향후 5년간 매년 30% 이상의 성장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3.  기술 스타트업 인수

LA에 위치한 새로운 Nike 스토어에서는 Nike가 소비자들의 요구를 맞추기 위해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18년 3월 나이키는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인 조디악 (Zodiac)을 인수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4월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이스라엘 컴퓨터 비전 스타트업인 인버텍스 (Invertex)를 인수하며 향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에 이용할 예정입니다.


4.  눈길을 사로잡는 신제품 출시

결국 패션 비즈니스의 핵심은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제품의 출시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 맥스 270 (Air Max 270) 라인과 에픽 리액트 (Epic React) 스니커즈는 현재 업계에서 2번째로 판매량이 높은 제품으로 가격은 125달러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제품들이 Nike로 하여금 디스카운트 없는 가격으로 전체 마진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효자품목인 것입니다.


5.  고객과의 소통

이러한 Nike 매출 신장의 1등 공신 중 하나는 바로 Nike의 열성팬들로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풋락커 (Foot Locker)와 같은 상점 앞에 밤에 새워 줄 서서 기다리는 사생팬들입니다. 이러한 사생팬들을 위해 Nike는 새로운 제품 출시 마다 알려주는 SNKRS 앱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Nike의 고객들은 NBA 스타 플레이어인 르브론 제임스 (LeBron James)의 제품이 출시될 때 팬들은 이제 상점 밖에서 기다릴 필요 없이 르브론 제임스의 경기하는 모습을 앱으로 보며 실시간으로 제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SNKRS 앱이 신드롬을 만들어내면서 매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 또한 부인할 수 없습니다.


설립 50년이 넘은 기업이지만 여전히 트렌드에 앞서가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  바로 나이키가 여전히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로 군림하는 이유가 아닐까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